검색
다음 동영상
 

스승과 제자 사이

여행하는 사업가와 믿을 만한 유령, 6부 중 1부

2021-06-08
Lecture Language:English
내용 요약
다운로드 Docx
더보기

           질문 있나요? (지금까지 하나 있습니다)‍ 하나뿐인가요? ()‍ 좋아요, 말해봐요.

(스승님, 미국과멕시코 국경지대에서위기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 후처음 몇 달 동안체포된 불법 이민자 수가급증했으며지난 20년을 통틀어그 어느 때보다 더 많은 수가밀려들고 있습니다. 일각에선 바이든 행정부가국경 『개방』 정책을 편다는인식 때문에 이런 상황이빚어진다고 말합니다)

(이와는 반대로도널드 트럼프전 미국 대통령의 정책은합법 및 불법 이민자에게상당히 엄격한 제한을 뒀고불법 밀입국자에 한해서는이민국 공무원들에게전부 체포할 것을지시했었습니다. 이 사안에 대해 스승님의의견은 어떠신지요?)‍

           그래요. 트럼프 대통령은다른 나라에서 들어오는이민자 유입 흐름이좀 더 질서 있게 되도록규제하려 했어요. 그건미국인들과 이민자들을보호하기 위한 것이었죠.

미국은 사실상 이미 일종의개방 정책을 펴고 있는데‍, 가령 매년 누구나 영주권제도를 통해 미국 내 거주나취업 신청을 할 수 있어요. 현재 매년 55천 명이그런 기회를 얻을 수 있죠. 또 미국 내 거주와 취업신청의 다른 많은 길도모두에게 열려 있어요.

국경 개방은 아주 좋아요. (, 스승님)‍ 하지만 체계적인 방식으로진행되어야 하죠. 안 그럼 혼란스럽게 돼요. 뉴스를 보니미국과 멕시코 간국경지대에서 위기가생기는 것 같더군요. (, 스승님)‍ 사전계획 없이그냥 국경을 개방할 수는없기 때문이죠. (, 스승님)‍

           유럽은 달라요. 거긴 솅겐 지역이 있어서유럽 여러 나라에서 온사람들이국경이나 검문소를거치지 않고도다른 나라로 입국하고출국할 수 있어요. 여권이나신분증도 필요 없죠. 하지만 그들은 이것을실행하기 위해많은 설비와 시스템을계획했어요.

그러나 미국과 멕시코와다른 나라들, 가령남미의 국가들은그런 계획이 없었어요. 그러니 이 경우, 그렇게사람들을 들여보내는 건별로 좋지 않아요. 어쩌면 질병이나범죄기록처럼 바람직하지않은 것들을 가진, 자격이 안 되는다양한 사람들이들어올 수도 있으니까요.

게다가 또 사전에계획하지 않았다면사람들을 심사하고신분증을 부여하고미국에 입국해서직업을 찾거나 친척들을찾을 수 있게 해주는 센터같은 것도 없을 겁니다.

           내가 뉴스에서 그 보도를보니 혼란 그 자체였어요. 모든 아이들이 수용시설에꽉 들어찼는데그건 아주…‍ 거의 아주 불친절했어요. 왜냐면 사람들이 갑자기그렇게 미국으로 오니까국경에 있는 직원들이그렇게 빨리 몰려드는사람들의 유입을처리할 수 없는 거죠.

적당한 수용시설이나음식도 충분하지 않고물자공급 등도 부족할 수있어요. 그런 건 그다지바람직하지 않아요. 미국에도 그렇고멕시코인들이나 다른이민자들에게도 좋지 않죠. 온두라스나 중남미다른 나라에서도 내내그렇게 온다고 들었어요.

모든 나라에 국경을개방하는 건 아주 좋고호의적이고 바람직한 거죠. 여러분 나라에 인력이부족할 때나 아니면 그저환대하는 마음으로 그렇게한다면 아주 좋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처럼매우 혼란스럽게 된다면그건 아주 좋지 않아요. 이민자들에게요 그리고특히나 어린 아이들에게요.

아이들이 국경 장벽 너머로던져지기도 하는 것을봤는데 그건 정말아이들에게 나빠요. 트라우마가 될 것이고아주 어린 나이나연약한 시기에 아이들이이런 트라우마를갖게 되면 그걸 잊기가매우 어렵습니다.

게다가 또 중요한 건, 팬데믹이 성행하고 있고자국민을 보호하기 위해대부분 국경이 폐쇄되는지금 이 시기에 개방은바람직하지 않다는 거죠. 아이들이 건강한지도모른 채 그렇게 함께빽빽하게 수용되어 있으면모두에게 아주 나쁩니다. 그렇게 생각 안 해요? (맞습니다, 스승님)‍

게다가 많은 사람들이아프다는 기사도 봤어요. 가령 그들이 코로나에 걸렸는데 그들을 그냥미국에 들여보낸다면건강한 미국인들도감염될 수 있어요. ()‍ 그건 배려심이 없는 거예요. 그런 식으로 되어선안 됩니다.

           좀 더 체계적으로준비가 된 후에이민자들이 미국으로올 수 있어야 했어요. 안 그러면 국경 개방은아주 좋은 일이죠. 이민을 받는 나라나이민자들 모두에게요. 이민자들은 일자리가절실하고 열심히 일할동기부여가 확실해서나라에도 기여를 하고자기 자신도이롭게 할 겁니다.

단지 사전에 준비가되어 있어야 해요. 그들이 머물 적당한 장소를 마련해야 하고처음 당도했을 때그들의 건강을 돌볼의사들, 의료진들이준비돼 있어야 하고음식이나 의복, 담요 등물자보급이나숙박시설, 위생문제 등그런 것들이조직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실상은 제대로준비되어 있지 않아서그곳에 보내진 아이들, 특히 부모나 보호자 없이그곳에 간 아이들에게아주 좋지 않죠. 설사 의도가 좋았다 해도그다지 선의의 태도는아니라고 봐요. (, 스승님)‍

           좋은 의도가전부는 아니죠. 좋은 의도는적절한 물자공급과손님들을 환영하기 위한모든 준비가수반되어야 합니다. 유럽에서조차솅겐 조약에 따른솅겐 지역도팬데믹 기간에는국경을 닫고 있어요. 그러니 미국과 멕시코의국경을 개방하는 것도지금 시점에선 그다지좋은 생각이 아니죠.

게다가 유럽 국가들의사고방식은멕시코나 미국 사람들과다를 수 있습니다. 기대하는 바나생활 방식에 있어서차이가 있을 수 있죠. 유럽연합에서대부분 사람들의생활 수준은 비슷합니다. 물론 어디든 더 부유하고덜 부유한 사람은 있죠.

하지만 솅겐 지역에있는 국가들은생활 수준이대개 비슷합니다. 그런데도팬데믹 기간에는시민들을 보호하기 위해예방 차원에서국경을 닫았죠. 특히 우리가 처한 지금의팬데믹 상황에서는그런 식으로 국경을개방하는 게 옳은지모르겠어요 (, 스승님)‍

밀수업자, 인신매매범, 마약밀매범들도부추기게 될 겁니다. 온갖 바람직하지 못한사람들의 무리도섞여 들어올 거예요. 그러면 맞이하는나라에, 미국에전혀 좋지 않아요. (, 스승님)‍

           질문 더 있나요?

(스승님, 최근에한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최근 인도의 코로나 감염자및 사망자가 기록적인수치를 보이고 있는데요)‍ 전보다 더 심한가요? (, 병원에선 사람들을돌려보내고 있고요. 일부 병원에선 산소가다 떨어져가고 있어서우려되는 상황입니다) .‍

(왜 인도가 현재이런 불행한 상황을겪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알기로는 최근에 쿰브멜라란 대규모 축제가열려서 수천 명, 어쩌면수백만 명에 달하는사람들이 몰려들었습니다)‍ , 그래요. (이런 팬데믹 중에도그건 계속됐습니다) .‍ (그 축제가 현재감염자와 사망자가늘어난 원인 중하나인가요?)‍

명백하지 않나요? ()‍ 너무 빨리 개방했어요. () (, 스승님)‍ 하지만 인도는 큰 나라이고인구가 많습니다. 정부도 너무 오래사람들을 통제하길 원치않는 것 같아요. ()‍ 특히 쿰브멜라와관련해서는요. 아주 아주 큰 행사이고종교적으로도아주 아주 중요하니까요. 그래서 아마 정부도금지할 수 없었을 겁니다. (맞습니다)

인도는매우 종교적인 나라이고쿰브멜라는 메카와 같아서매일 수십 만 명이 몰려와수백만 명에 달했어요. 이런 상황에서코로나 감염은금방 확산됩니다. 그러니 그것도 원인 중하나일 겁니다. ()‍ 하지만 다른 나라들에서도지금 그와 같은 문제가 있죠.

           코로나는 지금스스로 변이를 일으켜서이중 변이까지도나왔어요. 스스로를 재정비해서백신의 효과를 무력화시키려는 거죠. 이 바이러스는 대단해요. 전에 말했듯이 그 속에영혼들이 들었어요.

아주 영리해요. 인간의 지능과 발명보다 한 발 앞서 나가는 걸로보입니다. 인간의 발명은 이런바이러스에 충분히 빨리대처하지 못하는 것같아요. (, 스승님)‍

           그러니 그건 업이에요.

이런 질병을 피하는 건무척 어렵습니다. 문제는 이것이 여타의많은 팬데믹, 유행병과는다르다는 거죠. 다른 건 백신을 맞으면피할 수 있어요. 하지만 이것은, 어떤 이는 피할 수 있지만어떤 이는 피할 수 없어요.

관계 당국의보고에 따르면…‍ 감염자를 조사한 결과, 감염 환자의 3분의 1회복되는데 매우 긴 시간이소요됐고 다수가오랜 기간이 걸렸답니다. 심지어 1년이 지나도여전히 완쾌되지 않아요. 여전히 이 병의 후유증을느낀답니다.

또한 환자들 가운데‍ 3분의 1은 뇌에문제가 생긴다고 해요. (브레인 포그라고 합니다. 정신이 혼미해지고머리가 멍해지는 증상을브레인 포그라고 합니다)‍ , . 그래요. 그들도 그렇게 돼요. 최소한 환자들 가운데‍ 3분의 1이요. 그렇다고 했습니다.

           그러니 코로나를 피하는건 어려워 보입니다. (, 스승님)‍ 매우 어렵죠. 그 바이러스는계속 다른 전략을 써요. 그래서 우리 인간은 계속그 뒤만 쫓고 있어요. 계속 뒤쫓고 추격하지만지금은 양자에게 다 좋은유리한 상황은아닌 것 같아요. (맞습니다)‍

이중 변이까지 있죠. 세상에.

더보기
에피소드  1 / 6
1
2021-06-08
5136 조회수
2
2021-06-09
4080 조회수
3
2021-06-10
3819 조회수
4
2021-06-11
3635 조회수
5
2021-06-12
3583 조회수
6
2021-06-13
4631 조회수
공유
공유하기
퍼가기
시작 시간
다운로드
모바일
모바일
아이폰
안드로이드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GO
GO
QR코드를 스캔하세요 ,
또는 다운로드할 스마트폰 운영체제를 선택하세요
아이폰
안드로이드